블로그에 접근 하는 중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wo seconds!
 

대한민국 순자산, 사상 첫 2경 4,000조 원 돌파… 빛나는 성장, 가려진 그림자

728x90

대한민국 순자산, 사상 첫 2경 4,000조 원 돌파… 빛나는 성장, 가려진 그림자

 

2023년 말, 대한민국의 국민순자산(국부)이 전년 대비 1,217조 원 늘어난 2경 4,105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상 최대 규모이며,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눈부신 수치의 이면에는 수도권 집중과 부동산 쏠림 현상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함께 존재합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자산 구조의 현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순자산 2경 4,105조 원, 3년 만의 최대 증가폭

 

2023년 말 기준,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전년보다 5.3% 증가한 2경 4,105조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0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국민순자산이란 가계, 기업, 정부 등 국민 경제 주체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실물자산(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순금융자산)을 포함한 총합으로, 국가의 경제력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비금융자산이 635조 원, 순금융자산이 582조 원 증가하며 국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구분 2022년 말 2023년 말 증가액 증가율
국민순자산 2경 2,888조 원 2경 4,105조 원 1,217조 원 5.3%
비금융자산 2경 928조 원 2경 1,563조 원 635조 원 3.0%
순금융자산 1,960조 원 2,542조 원 582조 원 29.7%

 

 

자산 증가는 거래보다 가격 상승의 영향

 

자산 증가의 주된 원인은 자산 거래보다 자산 가격의 상승입니다. 순자산 증가액 1,217조 원 중, 실질적인 거래로 발생한 증가는 309조 원에 불과했고, 나머지 908조 원은 평가 이익, 즉 보유 자산의 가격이 올라 발생한 것입니다.

특히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뚜렷했습니다.

  • 2022년 265조 원 감소했던 토지자산은 2023년 149조 원 증가하며 반등
  •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시가총액은 6,979조 원으로 전년 대비 281조 원 증가

전체 주택 시가총액 중 수도권 비중은 70.6%로,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이는 지역 간 자산 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금융자산도 급증… 해외 투자 수익 효과

 

2023년은 금융자산도 큰 폭으로 증가한 해였습니다. 순금융자산은 전년 대비 582조 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해외 주식 투자 수익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 미국 S&P500 지수가 연간 24% 이상 상승
  •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해외 자산의 환산 가치 증가

이로 인해 '서학개미'라 불리는 해외 주식 투자자들의 자산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가계의 금융자산 순취득액도 2022년 43조 원에서 2023년 117조 원으로 급등했습니다.

 

1인당 순자산 2억 6천만 원… 일본과 영국을 넘어서

 

가계의 재정 건전성도 개선되었습니다.

  • 가구당 순자산은 6억 335만 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
  • 1인당 순자산은 2억 6,773만 원으로 집계됨

이 수치는 시장 환율 기준으로 일본과 영국의 1인당 순자산을 상회하며, 우리나라의 위상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다만, 가계 자산의 70% 이상이 여전히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편중되어 있어,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가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은 여전히 구조적 취약점으로 지적됩니다.

 

숫자 이면의 구조를 함께 바라봐야

 

2023년 대한민국 국부의 증가는 긍정적인 신호임에 틀림없습니다. 자산 시장의 회복과 글로벌 금융시장 호조 속에서 우리 경제의 회복 탄력이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이 성장이 평가 이익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경계해야 합니다. 자산 가격은 언제든지 조정을 받을 수 있으며, 수도권 집중, 부동산 편중, 계층 간 자산 격차 확대와 같은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경제를 위해서는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 그리고 자산의 지역적·계층적 균형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단순한 수치 이상의 시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