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접근 하는 중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wo seconds!
 

6+6 부모 육아휴직제도 사용시 실제 소득 부족 금액은 얼마일까?

728x90

6+6 부모 육아휴직제도, 실제 손실은 얼마일까?

6+6 부모 육아휴직제도 사용시 실제 소득 부족 금액은 얼마일까?

안녕하세요! 예비 부모님, 그리고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은 모든 부모님을 위해 오늘은 2025년부터 확 달라지는 육아휴직 제도, 그중에서도 핵심인 6+6 부모 육아휴직 제도에 대해 쉽고 풍성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아이와 보내는 시간은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지만, ‘휴직하면 생활비는 어떻게 하지?’, ‘월급은 얼마나 줄어들까?’ 같은 현실적인 고민도 뒤따르죠.

하지만 2025년, 정부가 부모님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육아휴직 제도를 역대급으로 개선했습니다.
특히 월급을 늦게 주는 사후지급금 제도 폐지, 급여 상한 인상, 그리고 부부가 함께 사용하는 6+6 제도 도입은 획기적이죠!


6+6 부모 육아휴직 제도 란?

6+6 제도는 자녀가 생후 18개월 이내일 경우, 부모가 각각 6개월씩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간 급여를 우대해주는 제도입니다.

 

사용 개월 월 상한액 (부모 1인당)
1개월차 250만 원
2개월차 300만 원
3개월차 350만 원
4개월차 400만 원
5개월차 425만 원
6개월차 450만 원

 

즉, 부부가 번갈아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최대 12개월간 총 5,100만 원까지 급여 수령 가능!
(단, 통상임금이 상한액보다 낮은 경우엔 실제 임금만큼 지급)


6+6 육아휴직 사용 시 실전 계산: 우리 집은 얼마나 손해볼까?

현실적으로 가장 궁금한 건, “그래서 우리는 육아휴직하면 얼마 손해날까?”라는 질문이죠.
이번엔 부부가 동시에 휴직하는 게 아니라, 번갈아 가며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계산해봤습니다.

가정 설정

  • 남편 연봉: 8,000만 원 (월 667만 원)
  • 아내 연봉: 4,000만 원 (월 333만 원)
  • 평소 부부 합산 소득: 1,000만 원/월
  • 사용 방식: 아내 6개월 → 남편 6개월 순차 휴직
  • 적용 제도: 6+6 부모 육아휴직 우대

6+6 육아휴직 사용시 월별 소득 변화 (6개월씩 번갈아 휴직)

기간 근무자 휴직자 가구 총소득 평소 대비 손실
1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2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3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4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5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6개월 남편(667만) 아내(333만) 1,000만 원 0
7개월 아내(333만) 남편(250만) 583만 원 -417만 원
8개월 아내(333만) 남편(300만) 633만 원 -367만 원
9개월 아내(333만) 남편(350만) 683만 원 -317만 원
10개월 아내(333만) 남편(400만) 733만 원 -267만 원
11개월 아내(333만) 남편(425만) 758만 원 -242만 원
12개월 아내(333만) 남편(450만) 783만 원 -217만 원

6+6 육아휴직 사용시 12개월 비교

항목 금액
원래 연소득 (12개월) 1억 2,000만 원
육아휴직 중 실제 수령액 1억 173만 원
총 손실액 1,827만 원
월평균 손실액 약 152만 원

 

  • 아내 휴직기(1~6개월): 남편이 고소득이므로 실질 손실 없음
  • 남편 휴직기(7~12개월): 상한액에 걸려 손실 발생, 최대 417만 원/월까지 소득 감소

 

 

육아휴직, 어떤 방식이 더 나을까? 6+6 부모 육아휴직 vs 일반 육아휴직, 실소득 비교로 알아보자!

아이가 태어나고 나면 부모는 고민합니다.
"둘이 함께 육아휴직을 쓸까? 아니면 한 명만 쓸까?"
"6+6 제도가 좋다던데, 실제로는 얼마를 받게 될까?"

2025년 육아휴직 제도 개편으로 다양한 선택지가 생긴 만큼, 현실적인 손익 계산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남편은 계속 일하고, 아내만 1년간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일반 육아휴직'과,
부부가 각각 6개월씩 번갈아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6+6 부모 육아휴직'을 비교해봤습니다.

 


 

일반 육아휴직 (남편은 계속 일하고, 아내만 12개월 휴직)

 

적용 기준

  • 1~3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50만 원
  • 4~6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00만 원
  • 7~12개월: 통상임금 80%, 월 최대 160만 원

 

일반 육아휴직 실제 월 수령액 (남편 근무 + 아내 휴직 급여)

기간 남편 급여 아내 육아휴직 급여 총합 소득
1~3개월 667만 원 250만 원 917만 원
4~6개월 667만 원 200만 원 867만 원
7~12개월 667만 원 160만 원 827만 원

 

  • 총 실수령액 (12개월): 1억 314만 원
  • 원래 총소득: 1억 2,000만 원
  • 총 손실액: 1,686만 원
  • 월 평균 손실: 약 140.5만 원

 


일반 육아휴직과 6+6 부모 육아휴직 비교

항목 일반 육아휴직(아내만) 6+6 부모 육아휴직 (번갈아)
휴직 대상 아내 12개월 아내 6개월 + 남편 6개월
총 수령액 1억 314만 원 1억 173만 원
손실액 1,686만 원 1,827만 원
월 평균 손실 약 140.5만 원 약 152만 원
돌봄 분담 아내 중심 부부 균형 분담

 

어떤 방식이 더 좋을까?

  • 소득만 보면?
    → 일반 육아휴직(아내만) 방식이 손실이 약 140만 원 더 적음. 남편 소득이 커질 수록 일반 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음
  • 육아 분담과 경력 단절 방지까지 고려하면?
    → 6+6 육아휴직이 훨씬 가정의 균형과 장기 경력 관리에 유리
  • 남편이 먼저 휴직하면?
    → 남성 육아휴직 인센티브(월 10만 원 × 3개월)도 추가 수령 가능

 


궁금한 점은 고용노동부 ☎ 1350 또는 고용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부모님의 육아휴직이 눈치 보지 않는 권리가 되는 그날까지, 함께 응원합니다. 💛

 

신청 방법은 간단하게 3단계!

  1. 회사에 휴직 신청 + 육아휴직 확인서 요청
    최소 30일 전에 신청! 회사가 고용보험에 전자등록하면 가장 편리합니다.
  2. 고용24에서 온라인 급여 신청
    휴직 시작 후 1개월부터 신청 가능.
    고용24 홈페이지 또는 앱 이용!
  3. 14일 내 입금 확인!
    급여는 보통 신청 후 2주 이내 입금됩니다.

※ 반드시 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아직도 남은 ‘현실의 벽’

제도가 좋아졌지만, 이런 문제들로 여전히 많은 부모님이 망설입니다.

  • “내가 빠지면 누가 일을 하지?” -> 대체인력 부족
  • “복직해도 자리 있긴 할까?” -> 불이익 우려
  • “승진에서 밀리진 않을까?” -> 눈치 문화

정부와 기업이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

  1. 대체인력 매칭 시스템 확대 (특히 중소기업 중심)
  2. 복귀 후 직무·급여 보장 의무화
  3. 재택·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 확산
  4. ‘육아휴직은 권리’라는 인식 확산 캠페인
  5. 비정규직·계약직 대상 제도 보완

가정의 상황에 맞는 전략적 선택이 중요

 

2025년은 선택지가 다양해진 만큼,
가정의 상황에 맞는 전략적 선택이 중요합니다.
우리 가족이 아이의 첫 1년을 온전히 함께할 수 있는, 인생에 단 한 번뿐인 기회입니다.
줄어든 월급도 다시 벌 수 있지만, 아이의 성장은 다시 돌아오지 않죠.

현실적 손실을 제대로 계산하고, 가족과 상의하여
가장 적절한 육아휴직 계획을 세워보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눈치 보지 말고 당당하게 쓰세요!

궁금한 점은 고용노동부 1350 또는 고용센터로 문의하세요.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부담이 아닌 권리가 되는 그날까지,
모든 부모님을 응원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