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년 여름, 역대급 폭염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더위가 아닌,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지금 가장 필요한 정보만 모아봤습니다.
폭염특보란?
폭염특보는 기상청이 고온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발효하는 기상 경보입니다. 2023년부터 체감온도 기준이 도입되었고, 단순 기온보다 실제 ‘느껴지는 더위’를 반영합니다.
- 폭염주의보: 체감온도 33℃ 이상 2일 지속 예상
- 폭염경보: 체감온도 35℃ 이상 2일 또는 실제 피해 우려
폭염주의보 vs 폭염경보
구분 | 발효 조건 |
---|---|
주의보 | 체감온도 33℃ 이상 2일 이상 또는 급격한 상승 시 |
경보 | 체감온도 35℃ 이상 2일 이상 또는 피해 발생 시 |
체감온도 기준 도입 이유
기온만으로는 실제 위험도를 파악하기 어려워, 습도·풍속 등을 반영한 체감온도 기준이 도입되었습니다.
2025년 폭염특보 발효 지역 (7월 7일 기준)
폭염경보
- 경기 남부, 강원 영동, 충북,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제주 동부, 경남 내륙, 전북·전남 내륙
폭염주의보
- 서울, 인천, 고양, 남양주, 강원 북부, 충청 북부 일부, 제주 북서부, 전남 해안
※ 특보는 매일 오전 10시 갱신됩니다.
폭염특보 해제 조건
- 체감온도 기준 미만 2일 이상 예상
- 기압계·습도 등 기상 시스템 안정
- 실제 측정치도 기준 이하
행동 요령
- 오후 2~5시 외출 자제
- 수시로 물 마시기
- 실내온도 26℃ 유지
- 노약자·어린이·반려동물 방치 금지
폭염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 도시 생활 마비: 지면 온도 45℃ 이상
- 농축수산업 피해: 가축·작물·어류 폐사
- 온열질환자 증가: 전년 대비 28% ↑
- 전력대란: 정전 위험, 산업 차질
정부·지자체 대응
- 1.2만 개 폭염 대피소 운영
- 쿨링포그, 냉방버스 설치
- 체감온도 33℃ 이상 긴급 문자 전송
- 노인 돌봄 서비스 강화
생활 속 폭염 대비 수칙
개인
- 양산, 모자, 선글라스 착용
- 하루 2L 이상 수분 섭취
- 조끼류 등 더운 옷 피하기
자녀
- 야외 활동 제한
- 등하교 시간 조정 요청
반려동물
- 산책: 오전 7시 이전 또는 오후 8시 이후
- 바닥 화상 주의
FAQ
Q. 폭염특보와 경보 차이는?
A. 폭염주의보는 체감 33℃, 경보는 35℃ 이상일 때
Q. 언제 해제되나요?
A. 체감온도 감소, 기상 안정 시
매일 기상청 특보 확인은 생명을 지키는 첫 걸음입니다. 2025년 여름, 준비된 우리가 더 안전합니다.
728x9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청년미래적금: 청년을 위한 현실적인 목돈 마련 전략 (2) | 2025.08.06 |
---|---|
본인부담상한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2) | 2025.08.06 |
청년계층 임대주택 신청 총정리 (기간, 조건, 절차) (3) | 2025.08.06 |
방송3법 도대체 무슨 내용일까? (1) | 2025.08.06 |
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방법 (기간, 대상, 과태료) (2) | 202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