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번 1차 긴급재난지원금 이후, 이번 2차 긴급 생활안정지원금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다는 조건이 붙으면서 많은 분들이 내가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차 지원금의 신청 일정과 지급 방식, 그리고 소득 기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신청 일정과 지급 방식
-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 월요일부터 10월 31일 금요일까지
- 지급 금액: 1인당 10만 원 (1차 지원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 일요일까지 (1차와 2차 모두 해당)
- 지급 방식: 신청 후 다음날 카드사 포인트나 지역화폐로 충전
신청 초반 혼잡을 막기 위해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추석 연휴 전에 지급되는 만큼 내수 경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소득층 10% 제외 기준
2차 지원금은 전국민이 아니라 소득 하위 90%까지만 지급됩니다. 현재 논의되는 기준은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의 210% 이하인데, 이는 세전 월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10%를 적용했을 때의 월 소득 상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전 월 소득 상한 기준 (+연소득 기준)
- 1인 가구
월 502만 원 이하 → 연 약 6,024만 원 이하
- 2인 가구
월 825만 원 이하 → 연 약 9,900만 원 이하
- 3인 가구
월 1,055만 원 이하 → 연 약 1억 2,660만 원 이하
- 4인 가구
월 1,280만 원 이하 → 연 약 1억 5,360만 원 이하
예를 들어 4인 가족의 세전 월소득이 1,280만 원을 넘지 않는다면 지급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이 기준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최종 발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자산 보유자 제외 조건 검토
소득만으로 판단할 경우 불균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고액 자산 보유자에 대한 별도 기준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 고가 주택 보유자: 재산세 과세표준액이 9억~12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가진 경우 제외 가능
- 금융소득 고액자: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 이상일 경우 제외 가능
또한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처럼 불리한 구조에 놓일 수 있는 경우에는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고 있습니다.
.

1차 지원금이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던 것처럼, 2차 지원금 역시 추석 연휴와 맞물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세워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정책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레드추파 월드 > 정책 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자녀장려금 신청방법, 지급일, 신청자격 총정리 (0) | 2025.09.12 |
---|---|
2025 추석 지원금 신청 완벽 가이드 | 최대 100만원까지! 놓치면 안 되는 정부·지자체 지원금 총정리 (0) | 2025.09.12 |
한국 여론조사의 신뢰도,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0) | 2025.09.12 |
2차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 (2) | 2025.08.14 |
2025년 1등급 가전 환급 신청 완벽 가이드 (기간, 대상, 방법) (3)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