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하스 카운터 센서 블루프린트
안녕하세요 레드추파 입니다.
시하스 카운터 센서가 가끔 카운팅이 잘못됬을때(=동시 출입 등)를 대비해서 초기화 자동화는 다들 해두셨을거라 판단 됩니다.
z2m 에서 직접 카운터수를 변경할수 있지만
대쉬보드 카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슬라이드로 되어있어서 숫자를 조정하기 까다롭습니다.
대쉬보드에서 Select식으로 바꾸려면 Box형으로 센서를 하나 생성해서 Entity값과 동기화 해야합니다.
[직접 하는 방법 TMI]
센서를 생성하고 자동화를 구성하려면 float 형과 int 형을 맞춰줘야되서 귀찮으므로
..
무한루프가 되지 않도록..
샬랴샬라
..
생략
어렵게 하실 필요 없이 제가 만든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시면 편하게 사용 하실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직접 동기화 시킬 input_number 센서를 수동으로 생성 해놓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 configuration.yaml 파일에 직접 추가해도 되고
input_number: !include input_numbers.yaml 를 configuration.yaml 선언해서 추가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재시작하면 구성요소에 센서가 생성되어 있을겁니다.
그리고나서 아래의 블루 프린트를 추가하셔서 쉽게 동기화 하시면 됩니다.
Link to Blueprints: start import – My Home Assistant
Show the blueprint import dialog with a specific blueprint pre-filled in Home Assistant.
my.home-assistant.io
그럼 이제 슬라이드형으로 되어서 변경하기 불편한 카운터 센서 숫자를 아래와 같이 편하게 바꾸실수 있습니다.
그럼 20000
장치가 오프라인 되지 않고 한번에 페어링 되는 HA 스마트홈이 되길 바래요~
'스마트홈 IoT 월드 > 스마트홈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어시스턴트에서 Node-RED 사용해보기: 웹훅을 이용한 재실 자동화 (1) | 2025.07.09 |
---|---|
컴퓨터 켜기 자동화의 끝판왕 (WOL, AOS, 비콘) (0) | 2025.03.19 |
HA 가상스위치를 사용하여 구글홈 앱 스마트하게 사용하기 3탄 (0) | 2025.03.11 |
ST 다중 가상스위치를 사용하여 구글홈 앱 스마트하게 사용하기 2탄 (0) | 2025.02.26 |
홈어시스턴트 자동화 2편 (반복문, While문)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