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접근 하는 중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wo seconds!
 

Matter 시대, Zigbee는 정말 사라질까?

728x90

 

"왜 이건 되고 저건 안 돼?" 스마트홈의 오랜 숙제, Matter의 등장

Matter 시대, Zigbee는 정말 사라질까?

 

"이 스마트 전구는 구글홈에선 되는데, 왜 애플 홈킷엔 안 보일까?" "삼성 스마트싱스에 연결하려면 또 다른 허브가 필요하다고?" 스마트홈을 꾸며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답답함입니다. 지난 10년간 우리 집은 똑똑해졌지만, 그 과정은 여러 국가의 언어를 배우는 것처럼 복잡하고 파편화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바벨탑’과 같은 스마트홈 생태계를 통합하기 위해 거대한 연합이 결성되었습니다. 바로 Matter(매터)입니다. 스마트홈의 거인들인 애플, 구글, 아마존, 삼성이 손을 잡고 만든 이 새로운 표준은 Zigbee, Z-Wave, Wi-Fi 등 제각각이던 통신 방식을 하나로 묶으려는 야심 찬 시도입니다.

그렇다면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오랫동안 스마트홈의 든든한 기반이었던 Zigbee(지그비)는 이제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 사라지게 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Matter의 정체: 스마트홈의 '만능 번역기'

Matter를 단순히 또 하나의 통신 방식(프로토콜)으로 생각하면 오해하기 쉽습니다. Matter의 본질은 '통합을 위한 상위 레벨의 약속' 또는 '스마트홈의 만능 번역기(Universal Translator)'에 가깝습니다.

기존에는 Zigbee나 Z-Wave 같은 기술이 각자의 '언어'와 '통신망'을 사용했다면, Matter는 모든 기기가 인터넷 프로토콜(IP)이라는 세계 공용어를 사용하게 만듭니다. 이를 위해 저전력 기기들은 Thread라는 새로운 IP 기반 무선망을, 고대역폭 기기들은 Wi-Fi를 사용합니다.

  • 로컬 우선 제어 (Local-first): 인터넷이 끊겨도 집 안에서는 모든 기기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 다중 플랫폼 동시 호환: 기기 하나를 설정하면 Google Home, Apple HomeKit, Amazon Alexa, Samsung SmartThings 등에 동시에 나타나고 제어됩니다.
  • 강력한 보안: 모든 통신은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로 검증되고 종단간 암호화되어, 보안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였습니다.

즉, Matter는 특정 기술을 대체하기보다, 기존 기술들을 아우르며 하나의 질서 아래 통합하는 '상위 프레임워크'인 셈입니다.


알고 써야 하는 Matter의 두 가지 연결 방식: Wi-Fi와 Thread

 

Matter 기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됩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스마트홈을 제대로 구축하는 첫걸음입니다.

 

Matter over Wi-Fi: 빠르고 편리하지만 전력 소비가 많은 방식

이름 그대로, 기존의 Wi-Fi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입니다. 항상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비디오 스트리밍처럼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기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 주요 기기: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IP 카메라, 스마트 스피커, 월 플러그 등

 

Matter over Thread: 저전력 기기를 위한 새로운 핵심 방식

Thread(스레드)는 Zigbee처럼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들을 위한 새로운 IP 기반 메시(Mesh) 네트워크입니다. 기기들이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통신 범위를 넓히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배터리로 작동하는 소형 기기들의 핵심 기술입니다.
- 주요 기기: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습도 센서,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전구 등

 

그래서 실제 문제는 무엇인가? (현실적인 문제점)

이 두 가지 방식의 차이 때문에 사용자들이 실제로 겪는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 문제 1: '스레드 보더 라우터'의 필수 존재를 모르는 경우
    'Matter over Thread' 기기를 사용하려면, Thread 네트워크를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스레드 보더 라우터(Thread Border Router)'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최신 스마트 스피커(Apple HomePod 2세대, Nest Hub Max 등)나 허브(SmartThings Station)에 이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만, 이 사실을 모르고 Thread 센서만 덜컥 구매하면 "왜 연결이 안 되지?"라며 당황하게 됩니다. 우리 집의 Matter 허브가 보더 라우터 기능을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문제 2: Wi-Fi 공유기의 과부하
    저렴하다는 이유로 'Matter over Wi-Fi' 방식의 스마트 플러그나 전구를 20~30개씩 설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가정용 Wi-Fi 공유기가 감당할 수 있는 기기 수(DHCP IP 할당 개수)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너무 많은 기기가 Wi-Fi에 직접 연결되면 네트워크가 혼잡해지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의 인터넷 속도까지 느려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문제 3: 부실한 '스레드 라우터'로 인한 네트워크 불안정
    Thread 네트워크는 전원에 연결된 기기(전구, 플러그 등)가 신호를 증폭해주는 '라우터'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하지만 일부 저가형 기기의 라우터 기능이 부실할 경우, 오히려 네트워크 전체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민폐'를 끼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특정 센서가 주기적으로 오프라인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문제 4: 'Matter 브릿지'의 병목 현상
    기존 Zigbee 기기 수십 개를 필립스 Hue 브릿지 같은 'Matter 브릿지'를 통해 사용하면, 모든 통신이 이 하나의 브릿지를 거쳐야 합니다. 이때 브릿지 자체의 성능이나 Wi-Fi 연결 상태가 좋지 않으면, 수많은 Zigbee 기기들의 반응 속도가 전체적으로 느려지는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Zigbee의 현주소: 대체 불가능한 '생태계의 힘'

그렇다면 Zigbee는 왜 여전히 강력할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미 시장을 장악한 압도적인 생태계와 가성비 때문입니다.

  • 압도적인 기기 수와 가성비: 현재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대부분의 가성비 좋은 센서, 스위치, 조명은 Zigbee 기반입니다. Aqara, Philips Hue, IKEA, Tuya, Sonoff 등 신뢰도 높은 브랜드들이 수백, 수천 종의 Zigbee 기기를 만들어냈습니다.
  • 검증된 로컬 제어 안정성: Zigbee는 자체적인 독립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인터넷이나 Wi-Fi 공유기에 문제가 생겨도, 설정해 둔 자동화는 멈추지 않고 작동합니다.
  • DIY 유저들의 확고한 지지: Home Assistant(HA)**와 **Zigbee2MQTT** 조합은 '내 마음대로 만드는 완벽한 로컬 스마트홈'을 꿈꾸는 고급 사용자들에게는 거의 표준처럼 자리 잡았습니다.

결론적으로, 풍부하고 저렴한 하드웨어 생태계는 Zigbee가 앞으로도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공존의 길: Zigbee는 어떻게 Matter의 일부가 되는가?

Matter와 Zigbee는 경쟁 관계가 아닌, 점진적인 '전환'과 '공존'의 관계입니다. 그 이유는 Matter의 탄생 배경에 있습니다.

  1. 개발 주체의 동일성: Matter를 만든 조직인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의 전신은 바로 Zigbee Alliance입니다. 즉, CSA는 Zigbee 생태계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더 큰 틀 안으로 끌어안으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2. '브릿지(Bridge)'라는 영리한 해법: Matter는 기존의 Zigbee 기기들을 포용하기 위해 '브릿지'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기존 Zigbee 허브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Matter 브릿지' 역할을 하여, 연결된 모든 Zigbee 기기들이 Matter 기기처럼 작동하게 만듭니다.
  3. 주요 브랜드들의 '하이브리드' 전략: Aqara, Hue, IKEA 등 주요 브랜드들은 기존 허브에 Matter 연동 기능을 추가하는 동시에, 신제품은 Matter를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용자별 최적의 스마트홈 전략

결국 중요한 것은 기술의 이름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자동화를 얼마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가' 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사용자 유형별 최적의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보자 / 브랜드 통합이 최우선인 사용자

- 허브: SmartThings Station, Apple HomePod 2세대 등 스레드 보더 라우터가 내장된 Matter 허브로 시작하세요.
- 기기: Eve, Nanoleaf 등 Matter 인증을 받은 Thread 및 Wi-Fi 기반 기기를 중심으로 구매하여 플랫폼 호환성을 누리세요.

 

고급 사용자 / 완벽한 로컬 자동화 선호자

- 허브: Home Assistant와 Sonoff ZBDongle-E/P 같은 강력한 Zigbee 코디네이터 조합을 유지하는 것이 여전히 최선입니다.
- 기기: 이미 보유한 수십 개의 Zigbee 기기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필요한 경우 Matter 기기를 HA에 통합하여 사용합니다.

 

대부분을 위한 현실적인 '하이브리드' 전략 (강력 추천)

- 허브: Home Assistant, Aqara Hub M3 등 Zigbee와 Matter(Thread)를 동시에 지원하는 허브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기기 선택:
  · 센서류 (도어, 모션, 온도 등): 저렴하고 안정적인 Zigbee 제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 핵심 기기 (조명, 스위치, 도어락 등): 여러 가족이 다양한 플랫폼으로 제어해야 한다면 Matter 인증 제품을 선택합니다.


Zigbee는 죽지 않는다, 다만 진화할 뿐이다

 

스마트홈의 패러다임은 분명 Matter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전환은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단절이 아니라, 점진적인 확장과 통합의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Matter는 스마트홈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이지만, Zigbee는 그 미래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현재'의 기반입니다.

지금 Zigbee 기기를 구매하는 것은 결코 낭비가 아닙니다. 오히려 가장 현실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홈을 구축하는 핵심 기반이며, 향후 Matter로의 전환 역시 허브의 펌웨어 업데이트나 브릿지 추가만으로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스마트홈 구축을 시작하거나 확장하려는 분들이라면, Zigbee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오히려 Zigbee를 기반으로 똑똑하게 시작하고, Matter로 현명하게 확장하는 전략적 접근이 당신의 스마트홈을 가장 성공적으로 만드는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728x90